
밀양깻잎이란
‘밀양깻잎’으로 ‘지리적 표시 단체표장’획득
품질과 역사성까지 인정받은 밀양 깻잎
-
밀양깻잎은
예로부터 인도, 한국, 중국 등의 아시아 지역에서 재배됐으나 식용으로 먹는 것은 우리나라가 거의 유일합니다.
참깻잎은 긴 타원형에 끝이 뾰족하며, 잎이 억세고 두꺼워 주로 한방에서 약재로 사용합니다.
들깨는 잎과 종자를 모두 식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특징힙니다.
깻잎을 목적으로 재배해 잎의 생산량이 많은 ‘잎들깨 품종’과 종자인 들깨를 주로 생산하는 ‘엽실들깨 품종’이 있습니다.
그중 ‘밀양 들깻잎’은 우수한 잎으로 인정받은 대표적인 ‘잎들깨 품종’으로 품질과 명성, 역사성으로 ‘지리적 표시 단체 표장’을 획득해 독자적인 브랜드 권리를 보호받는 깻잎입니다.
깻잎재배현황
밀양 지역은 사질 양토에 일조량도 좋아 수확량(전국 생산량의 40%)이 많은 편이다. 1년에 2차례 수확기를 갖는데, 봄에 파종해 여름에 수확하는 ‘춘파’와 가을에 파종해 겨울에 수확하는 ‘추파’로 나뉜다. 특히 천천히 성장할수록 품질이 좋아져 밀양 추파 들깻잎이 가장 훌륭한 풍미를 낸다.
-
<시군별 깻잎 생산량>
(단위 : M/T)
시 군 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경상남도 밀양시 6672.5 6244.4 8053.7 6740 7571.9 경상북도 경산시 2336.2 2327.6 2275 1824 1812 1815 부산광역 강서구 120 2000 2000 2000 2000 2000 충청남도 공주시 93 99.2 97.7 147.3 충청남도 금산군 12685 8821 8815 8947 9117 충청남도 서산시 15.6 14.3 14.3 17.1 ※ 자료 : 통계청
-
<시군별 깻잎 재배면적 >
(단위 : ha)
시 군 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경상남도 밀양시 165.6 159.1 168.3 153.7 174.5 경상북도 경산시 52 52 50 59 57 57.2 부산광역 강서구 60 29.7 29.7 45.2 37.2 37.2 충청남도 공주시 4 4.5 4.4 6.6 충청남도 금산군 287 291 284 286 286 충청남도 서산시 2.6 2.6 2.6 3 ※ 자료 : 통계청
영양성분
향긋하고 쌉싸름한 향이 일품인 채소인 깻잎에는 피톨이라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암세포만을 골라 제거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깻잎은 생선이나 고기의 비린맛을 없애주고 세균을 억제하는 항균작용 기능이 있어 식중독 예방에도 도움을 주며, 칼슘, 무기질, 비타민A와C, 철분이 풍부해 빈혈예방,
피부비용에 탁월합니다.
특히 밀양 들깻잎은 적자색을 띠는 잎의 뒷면에 항산화 작용을 하는 ‘안토시아닌’까지 들어 있어 영양학적인 면에서도 우수합니다.
<주요 영양성분(100g당 / 깻잎(들깻잎), 생것) >
영양분 | 함량 | 영양분 | 함량 | 영양분 | 함 량 | |||
---|---|---|---|---|---|---|---|---|
에너지 | Kcal | 41 | 총식이섬유 | g | 4.5 | 나이아신 | ㎎ | 0.9 |
수 분 | g | 86.2 | 수용성식이섬유 | g | 0.1 | 비타민C | ㎎ | 12 |
단백질 | g | 4 | 불용성식이섬유 | g | 4.4 | 칼 슘 | ㎎ | 211 |
지 질 | g | 0.4 | 비타민A(RE) | RE | 1524 | 인 | ㎎ | 72 |
회 분 | g | 1.5 | 비타민A(레티놀) | ㎍ | 0 | 철 | ㎎ | 2.2 |
탄수화물 | g | 7.9 | 비타민A(베타카로틴) | ㎍ | 9145 | 나트륨 | ㎎ | 389 |
식염상당량 | g | 0 | 비타민B1 | ㎎ | 0.09 | 칼 륨 | ㎎ | 1 |
폐기율 | % | 0 | 비타민B2 | ㎎ | 0.45 | 섬유소 | g | 1.7 |
※ 자료 : 농촌진흥청 농식품종합정보시스템, 한국식품연구원